'국경없는 언어문화 지식나눔 NGO' | 조인어스코리아
프로그램 소식/조이누리 기자단

[조이누리 기자단] 조예진- ② 국악

조인어스코리아 2014. 10. 28. 11:46

오늘은 국악의 장단, 형식,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거예요.

 

먼저 한밭국악관현악단의 연주회 장면을 잠시 보시죠. 정말 멋지죠..  

다음에 기회되심 국악관현악단 연주회에 꼭 가보세요.  



 

자! 그럼 오늘의 주제로 돌아오죠.  

 

첫째로, 국악의 장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국악에서 일정한 길이의 리듬형(rhythmic cycle)을 장단이라고 하는데, 한국음악은 장단이 없는 것으로부터 복잡한 장단의 복합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그러나 대개는 일정한 장단에 맞추어 노래하거나 연주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범패는 장구나 북의 장단 없이 부르는 성악곡이고, 《산타령》은 장구와 북의 반주도 있고 그 리듬도 경쾌하지만, 서도의 《앞산타령》을 예외로 친다면 일정한 장단이 없고 들쭉날쭉한 3박과 2박의 혼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또 《정읍(井邑:일명 壽齊天)》 같은 곡은 일정한 장단이 없는데, 그 이유는 의식진행의 느리고 빠름에 따라 느리게 연주할 수도 있고 빠르게 연주할 수도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고수는 장단의 전형적 리듬만 치는 것이 아니라 음악의 첫 장단 이외에서는 변화 리듬을 사용하며, ‘으이’ ‘좋지’ ‘좋다’ ‘얼시구’ 등의 추임새를 악구(樂句)나 악절 끝에 붙입니다. 

장구를 치는 원칙적 순서는 ① 합장단[雙], ② 채편[鞭], ③ 북편[鼓], ④ 굴림채[搖]입니다. 합장단이란 북편과 채편 양쪽을 동시에 치는 것으로, 고악보에는 쌍(雙)이라 표시되어 있어요. 《수제천(壽齊天)》 《여민락(與民樂)》 《삼현영산회상》 중 <상영산>과 같이 한배(곡조의 장단)가 느린 곡에서는 먼저 채편을 치고 다음에 북편을 치는, 즉 ‘기덕 쿵’으로 시작합니다. 한배가 느린 곡에서는 그 채편과 북편 사이의 시가(時價)가 그 곡의 한배의 기준이 되기 때문인 것 같아요. 이것을 ‘갈라 친다’고 합니다.

리듬은 언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관사나 전치사가 없는 한국말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한국음악은 강박(强拍)으로 시작하고 약박(弱拍)으로 끝납니다. 이와 반대로 대부분의 서양음악은 약박으로 시작하여 강박으로 끝납니다.

장구의 채편을 치는 법에는 채로 변죽을 치는 법과 복판을 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복판을 치는 음악은 농악 ·시나위 ·삼현육각이고 그 나머지 음악은 변죽을 치는데, 예외로 가곡 중 ‘편락(編樂)’은 처음 1 ·2장은 변죽을 치다가 3장 끝 부분에 이르러 복판을 치기 시작하여 중여음(中餘音)과 4장까지 계속하고, 5장 중간쯤에서 다시 변죽으로 되돌아가는 변화를 주기도 합니다. 이것을 ‘편장단(編長短)’이라 하죠.          

 

 

둘째로 국악의 형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한배에 따른 형식


국악곡들은 대부분 처음에는 느리게 시작하나 차차 빨라지는 만(慢:느림)·중(中:보통)·삭(數:빠름)의 흐름이 하나의 뚜렷한 형식을 이루고 있습니다. 즉, 《영산회상》의 <상영산(上靈山)>에서 <중영산(中靈山)> <세영산(細靈山)> <가락더리>로의 빠르기의 변화라든지, 가곡의 《초수대엽(初數大葉)》에서 《이수대엽(二數大葉)》 《중거(中擧)》 《평거(平擧)》 《두거(頭擧)》로의 진행형식에서 그러한 점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또한 산조(散調)에서도 '진양조' '중모리' '자진모리'의 빠르기라든지 민요의 느린(긴)소리 다음에 빠른(자진)소리를 잇대어서 부르는 형식 등이 그것입니다. 즉 《육자배기》와 《자진육자배기》, 《긴육자배기》와 《자진육자배기》, 《긴농부가》와 《자진농부가》, 《방아타령》과 《자진방아타령》 등의 '긴'과 '자진' 등 빠르기에 따른 형식이 그 예입니다. 

 

 

확대형식 


같은 곡을 사설을 길게 하여 변화시키는 방법입니다. 가곡이나 시조 등의 '편(編)' '엮음' 등이 이에 속하는데, 시조 중 사설시조는 평시조와 박자 수는 같으나 사설의 글자수가 평시조의 2배·3배에 이르기도 합니다. 가곡에서도 《언편(言編)》 《편락(編樂)》 《편수대엽(編數大葉)》은 기본형인 《이수대엽(二數大葉)》보다 3장·5장이 깁니다. 이러한 '엮음'의 형식은 서도소리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메기고 받는 형식


유절형식(有節形式)으로 된 민요나 반복되는 노동요 등에 많이 나타나는 형식으로, 한 사람이 메기면(call) 여러 사람이 받는게(response) 일반적입니다. 메기는 부분은 사설과 선율이 다양하나 받는 부분, 즉 후렴구는 거의가 일정 불변입니다. 메기는 부분은 대개 세 가지로 변화를 주는데, 그것은 ① 저음(低音)으로부터 시작하는 '숙여내는 소리', ② 중음(中音)으로부터 시작하는 '평(平)으로 내는 소리', ③ 고음(高音)으로부터 시작하는 '질러내는 소리' 등 입니다.

환두형식과 도드리형식


도드리라는 말은 '돌아 들어간다'는 뜻으로 환입(還入)이라고도 합니다. 환입은 《보허자(步虛子)》나 《낙양춘(洛陽春)》 등이 좋은 예가 되는데, 이들 곡은 그 형식에 있어서 A·B·C·B의 모양을 하고 있어요. 이 중 반복되는 B부분을 도드리 또는 환입이라 하고, C는 A 대신 놓았다고 하여서 환두라고 합니다. 《영산회상》 중의 <삼현도드리[三絃還入]>와 지름시조, 유절형식으로 된 민요, 반복되는 노동요 등이 이러한 형식입니다.

그러나 국악의 곡명 가운데 《밑도드리[尾還入]》 《윗도드리[細還入]》 《양청도드리[兩淸還入]》 《우조가락도드리[羽調加樂還入]》 등의 환입·도드리라는 명칭은 이들 곡이 환입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뜻이 아니라 《보허자》 중 '환입' 부분만을 따서 그것을 변주하였다는 뜻입니다.

 

셋째,국악의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국악의 분류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보편화된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악(雅樂)의 원래 뜻은 중국의 제례악(祭禮樂:Chinese ritual music)을 의미하며, 1116년(고려 예종 11)에 한국에 수입된 대성아악(大晟雅樂)을 가리킵니다. 이 대성아악은 고려와 조선 초까지 궁정에서 행하는 원구(圓丘) ·사직(社稷) ·태묘(太廟) ·선농(先農) ·선잠(先蠶) ·공자묘(孔子廟) 등의 제사와 연향(宴享:국가적 규모의 큰 잔치)에 쓰였습니다. 그러나 고려 말에 이르러 아악에 쓰일 악기가 부족하게 되고 악기간의 조율이 맞지 않아 합주가 어렵게 되었으며, 음악 자체도 옛 제도에 어그러져 불완전한 것이 되었습니다. 이런 것을 조선 세종 때 박연(朴堧) 등이 중국의 옛 문헌들을 참고하여 중국 주나라 때의 아악에 가깝도록 재현시켰습니다. 이것이 오늘에 전해지는 아악, 즉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인 것입니다. 아마 박연 선생님 이름은 많이들 아실겁니다. 

당악(唐樂)은 당나라 음악이라는 뜻이나 당나라 음악은 물론 송나라의 속악(俗樂)까지도 포함합니다. 한국에는 통일신라 이후 고려에 걸쳐 유입되었으며, 기존의 음악인 향악(鄕樂)과 구분하기 위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아악이 중국 고대의 궁중음악이라면 당악은 중국 당 ·송나라 때의 민속음악으로, 《보허자》 《낙양춘》 《수룡음(水龍吟)》 《억취소(憶吹簫)》 《하운봉(夏雲峰)》 등의 곡이 있습니다. 이 중 현재 전해지는 것은 《낙양춘》 《보허자》 두 곡뿐이며, 그나마도 향악화되어 있습니다. 향악은 당악이 들어오기 이전의 순수한 재래음악과 당 이전 서역지방에서 들어온 음악을 포함하는 말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민간음악은 포함되지 않으며 주로 궁정과 지식계급에서 사용된 아악과 당악을 제외한 음악을 가리킵니다. 즉 《정읍》 《동동(動動)》 《가곡》 《영산회상》 등이 이에 해당되는 거죠. 

그러나 이와 같은 분류방법은 오늘날 다음과 같은 이유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첫째, 아악의 레퍼토리는 문묘악 한 곡뿐이고, 당악의 레퍼토리는 《낙양춘》 《보허자》 두 곡뿐인데, 그나마도 향악화되어 버렸습니다. 

둘째, 향악이란 궁정이나 지식계급에서 쓰던 음악이라는 뜻으로 오늘날의 소위 민간음악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셋째, 조선 후기에 생긴 많은 종류의 음악을 모두 향악이라는 단어 하나에 포함시킬 수는 없습니다.

정악(正樂)은 앞에서 설명한 아악 ·당악 ·향악, 즉 궁정이나 지식계급에서 쓰던 음악을 가리키고, 민속악(民俗樂)은 일반 대중 사이에서 쓰던 음악을 가리킵니다. 즉, 정악에는 문묘제례악을 비롯하여 종묘제례악 ·경모궁제례악(景慕宮祭禮樂) 등 제례악과 《여민락(與民樂)》 《낙양춘》 《보허자》 《취타(吹打)》 등의 악곡 및 각 악곡에서 파생된 모든 파생곡까지를 포함하는 거죠. 또한 궁중음악이 아닌 민간음악 증에서도 아정한 음악인 영산회상 ·가곡 ·가사 ·시조 등도 포함합니다. 

정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발생연대가 비교적 깁니다. ② 문헌상 옛 악보[古樂譜]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 음의 장식방법에 과장이 없고 담백 ·아정합니다. ④ 여러 악기를 사용하는 합주음악입니다. 설혹 독주나 병주곡이라 하여도 이는 합주곡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⑤ 궁정이나 지식계급 사이에서 즐기던 음악입니다.

민속악은 정악의 대(對)가 되는 음악으로 일반대중이 즐기던 음악입니다. 이에는 산조 ·판소리 ·잡가 ·민요 ·농악 등이 속하는데, 잡가에는 12잡가 ·휘모리잡가 ·서도잡가 ·산타령 ·가야금병창 ·선소리[立唱]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세속음악이 아닌 범패(梵唄)나 무악(巫樂)을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민속악의 전체적인 특징은 흥겹고 구성진 가락이 많고 음악마다 지방에 따른 ‘토리’가 적용됩니다. 장단은 느린 것도 있지만 거의가 빠른 장단이어서 생동하고 싱싱한 느낌을 줍니다. 그러나 르네상스 이후의 서양음악을 이전의 분류인 종교음악과 세속음악으로 나눌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차차 흐려졌던 것처럼, 위와 같은 분류도 범패와 같이 어느 쪽에도 속할 수 없는 종류의 음악이 있기 때문에 모순을 남기고 있습니다.

 

 

국악 이론에 관련된 것은 여기까지고요.

이제 국악과 관련된 사이트와 TV프로그램을 알려 드릴려고요.

직접 사이트를 찾아서 보시면 더 좋을 겁니다. 

<사이트>

국악 신문사 http://www.kukak21.com/

국악 FM방송 http://www.gugakfm.co.kr/

한국 국악협회 http://www.kukakhyuphoe.or.kr/

<TV프로그램>

국악 한마당 http://www.kbs.co.kr/1tv/sisa/kookak/

 

제가 준비한 국악에 대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다국어&다문화 지식공유/교류 커뮤니티" 운영 IT NGO

MULTILINGUAL KNOWLEDGE EXCHANGE & SHARING COMMUNITY


 JOINUSWORLD.ORG 

 



조인어스코리아는 국내 최대 29개 ‘국경 없는 언어문화 지식교류활동가’(JOKOER)를 회원으로 하는 NGO로써,
지식을 통해 세계인과 교류하는 다국어&다문화 지식허브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순수 비영리 민간외교 단체 입니다.